건축물대장은 부동산 거래 시 꼭 확인해야 하는 서류입니다. 건축물대장에는 건축물의 준공연월일, 소유주주소, 면적 내진설계, 용도, 층수, 구조등 모든 정보가 기록이 되어있습니다.
1. 건축물대장이란?
건축물대장에 건물의 준공일, 면적, 층수, 용도, 구조등 모든 현황을 기록되어 있어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소유주가 누구인지 어디에 살고 있는지도 확인할 수 있고 기타 세금과 관련하여 자료로도 사용되는 문서입니다. 건축물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서 단독주택, 공동주택, 근린생활시설 등 28개 항목이 분류되어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건축물대장으로 확인하는 방법
1. 공동주택을 확인할 때 호수가 일치하는지 학인
공동주택을 확인할 때 호수를 입력해야 합니다 개개인이 소유주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개별등기인 각 호실과 면적이 등 이 맞는지 확인하고 옆집과 다른 지도 꼼꼼히 확인합니다.
2. 건축물대장 소유주확인
건축물대장의 소유주를 확인을 합니다. 등기부등본으로도 확인을 할 수 있지만 건축물대장에서도 소유주의 현주소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끔은 등기부등본과 건축물대장에 소유주 주소가 다른 경우도 있으니 확인해야 합니다.
3. 용도확인
부동산 계약을 할 때 필수적으로 확인하는 서류입니다. 상대방에게 보여주어 대장상으로 근린생활시설로 외관으로는 알 수 없는 서류를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근생에 주거용으로 사용이 안되는 데 사용한다면 전세자금, 주택담보대출 등이 나오지 않습니다.
또는 상업시설로 용도에 따라 인허가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니 계약 전에 용도를 체크하는 것으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4. 위반건축물 여부확인
위반건축물 확인은 무단확장, 증축등으로 용도변경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1층 주차장부분를 다른 용도로 사용한다면 그것도 위반입니다. 건축물대장 우측상단의 노란색 표시를 합니다. 어떤 내용의 위반인지는 마지막페이지에 기재가 되어 있습니다.
건축물대장으로 체크하기
# 공동주택일 때 호수가 건축물대장과 같은지 확인
# 건축물용도가 근린생활시설, 주택, 상가, 기숙사, 병원등 용도확인
# 공동소유일 때 소유주 확인하고 지분까지 체크
# 증축 개조등으로 위반건축인지여부 확인
빌라를 신축할 때 확장된 부분이 초기에는 위반이 되지 않고 있다가 추후에 확인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서류상에는 문제가 없어 보이는데 입주할 때 확장을 했다든지 증축등으로 전세대출, 반환보증금 등을 하지 못하게 되는 사례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 위반건축물에 새로운 임차인을 맞추기가 어려워서 만기 시 돼도 전세보증금을 받기가 힘들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매매계약을 할 때,전세계약을 할때, 반드시 건축물대장 보는 법을 숙지하고 체크사항을 꼭 확인해야 안전하게 내 의무를 다할 수 있습니다.
3. 건축물대장 용도변경확인, 발급방법
건물 신축 이후 사용승인이 났다면 다음의 사례가 변경을 합니다.
1. 근린생활시설, 상가를 주택으로 승인 후 개조
원룸이나 발라등에서 이런 사례가 많습니다. 근생이나 상가는 주거용으로 사용하다면 월세 소득공제를 받지 못합니다. 전입신고는 해도 되지만 위반사실을 확인되면 퇴실을 해야 합니다.
2. 내부를 2개로 쪼개서 2호실로 나누기
입주를 301호로 했는데 301-2로 불린다면 이것은 등기부등본과 건축물대장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무단개조한 것으로 쪼개기를 한 원룸 이라 불리는 것입니다. 건축물관리대장 현황을 보면 각층별 몇 개의 호실이 있는지 기재가 되어 있으니 확인해 보면 됩니다.
건축물대장으로 기록된 내용을 확인하면 변동사항 연월일 내용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유주가 2명 이상일 때는 지분비율도 표시되어 있으니 확인할 수 있고 관할 구청에서 열람도 가능합니다.
3.발급방법
#정부 24 발급
#건축물 행정시스템 세움터
#직접 구청을 방문 발급
상가 건물 주택 등 매매할 때 ,월세 전세계약을 할때 모두 꼭 필수적으로 확인하는 서류입니다. 까먹지 마시고 확인하는 자세는 중요합니다. 요즘은 개인 간 거래도 많이 하는 편이라서 필수서류는 확인하시는 게 내 재산을 안전하게 매입하는 하나의 체크서류로 보시며 돕니다.
오늘은 건축물대장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누구나 열람이 가능한 공공의 서류이니 기록된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