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5년 미국 빌딩 시장 트랜드 (공실률, 가격,수익률)

by 앤서웨이 2025. 4. 27.
반응형

 

1111

미국 빌틸시장 트랜드

 

 

2025년 현재, 미국 빌딩 시장은 팬데믹 이후 장기적인 구조 변화와 경제 긴축 기조에 적응하면서 더욱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공실률, 매매가격, 수익률 측면에서 새로운 흐름이 명확히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투자자들에게 전략적 재정비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본문에서는 2025년 미국 빌딩 시장의 최신 트렌드를 심층 분석하겠습니다

공실률 트렌드: 하이브리드 수요가 시장을 재편

2025년 미국 상업용 빌딩 시장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공실률 양극화의 심화입니다. 팬데믹 이후 정착된 하이브리드 근무 방식으로 인해 대도시 중심 오피스 시장, 특히 뉴욕, 샌프란시스코, 시애틀 등지에서는 여전히 높은 공실률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뉴욕 맨해튼 오피스 공실률은 평균 19~21%에 달하며, 일부 B급 오피스는 30%에 육박하는 경우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반대로, 산업용 부동산은 여전히 강세입니다. 물류센터, 창고형 부동산은 2~3%대 초저공실률을 유지하고 있으며, 미국 남동부와 텍사스 주요 도시 인근 물류 허브에서는 사실상 '제로 공실' 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리테일 부동산 시장은 이커머스 적응과 체험형 소비 트렌드가 자리 잡으면서 고급 리테일 매장은 수요가 안정적이지만, 중저가 쇼핑몰은 여전히 구조적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 특히 2선, 3선 도시 리테일 자산은 공실 위험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매매가격 동향: 조정 마무리, 선별적 회복 시작

2025년 미국 빌딩 매매시장은 2022~2024년 금리 인상으로 인한 가격 조정기를 지나, 선별적 회복 국면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오피스 시장에서는 여전히 구조적 압박이 존재하지만, A급 프라임 오피스 빌딩은 매매가가 하락세를 멈추고 일부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글로벌 투자자들은 뉴욕, 보스턴, 워싱턴 DC 등의 프라임 오피스 시장에 관심을 다시 돌리고 있습니다.

산업용 부동산은 가격 상승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2025년 현재, 주요 물류 허브 지역 물류센터는 전년 대비 평균 7~9%의 가격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텍사스, 플로리다, 조지아 등 남부 지역은 이민자 증가와 내수 경제 확장 덕분에 물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매매가 상승이 특히 두드러집니다.

리테일 부동산은 프라임 지역 위주로 안정세를 보이며, 일부 복합 상업시설은 매매가가 소폭 상승했습니다. 그러나 지방 소도시 리테일 자산은 여전히 거래 부진과 가격 하락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수익률 전망: 위험회피형 투자 선호 강화

2025년 현재, 미국 상업용 부동산 투자시장에서 수익률 기대치는 전반적으로 조정되었습니다. 높은 대출금리 환경이 지속되면서 투자자들은 보수적인 수익률 목표를 설정하고 있으며, 리스크 대비 안정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뚜렷합니다.

오피스 자산의 경우, 특히 비프라임 오피스는 캡레이트 상승에도 불구하고 실제 임대료 하락과 공실 위험 때문에 수익성이 낮아졌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오피스 자산 투자에 매우 신중한 접근을 하고 있으며, 대부분 프라임급 오피스에만 투자하거나 아예 산업용 자산으로 포트폴리오를 전환하는 추세입니다.

산업용 부동산은 여전히 5~7%의 안정적인 순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일부 고성장 지역에서는 8%를 초과하는 수익률도 가능해 투자자들의 주요 타깃이 되고 있습니다.

리테일 부동산은 프라임 매장 위주의 안정적인 5% 내외 수익률이 기대되지만, 공실 위험이 큰 지역에서는 7~9%의 고수익을 제공하면서도 투자 매력이 떨어지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2025년 투자 전략은 "높은 수익률보다는 높은 안정성"을 최우선 고려하는 방향으로 재편되고 있습니다.

2025년 미국 빌딩 시장은 공실률 양극화 지속, 매매가격 선별적 회복, 위험회피형 투자 전략 강화라는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지역별, 자산 유형별 리스크를 정확히 분석하고, 안정성과 장기 성장성을 모두 고려하는 세밀한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급변하는 시장 속에서 성공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신속한 정보 업데이트와 유연한 대응력이 필수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