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의 ‘중저가 공공주택 30만 호’ 프로젝트는 토지임대부+초장기 고정금리 모델을 도입해 분양가를 시세 대비 60 % 이하로 낮추고, 청년·신혼·무주택 중장년층이 월세 수준의 비용으로 내 집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핵심입니다. 공급 일정·지역 물량·금융 지원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왜 중저가 공공주택 30만 호가 절실할까?
중저가 공공주택 30만 호 플랜은 주택 가격 급등으로 “내 집 마련이 불가능하다”고 느끼는 서민·청년을 위해 마련된 정책입니다. 최근 5년간 수도권 아파트 중위 매매가는 30평 기준 8 억 원을 돌파했고, 전·월세 비중은 72 %까지 치솟았습니다. 임차 가구가 가처분소득의 24 %를 주거비로 쓰면서 생애주기별 필수 소비(교육·노후 준비)가 위축되는 ‘렌트 트랩(rent trap)’ 현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러한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공이 토지를 보유한 채 건물만 분양(토지임대부) ▲분양가를 시세 대비 37 % 내외로 인하 ▲40년·2 %대 초장기 고정금리 모기지를 제공해 상환 부담을 대폭 줄인다는 방침을 밝혔습니다.
이 로드맵이 성공하면 무주택 청년·신혼부부의 내 집 마련 문턱이 낮아지고, 수도권 집중을 완화하기 위한 ‘지역 균형 스마트주거벨트’(국토부 주거복지로드맵 3.0)도 함께 추진돼 지방 소멸 문제 완화 효과가 기대됩니다.
공급 구조·금융 지원·지역 전략
① 토지임대부 + 분양가상한제
공공이 토지를 소유해 분양가에서 토지비(평균 45 %)를 제외한 뒤 스마트 건설 기술을 적용, 평당 90 만 원대 건축단가를 달성합니다. 분양가는 시세의 60 % 이하, 실수요자 보호를 위해 공공분양가상한제를 유지합니다.
② 초장기 고정금리 모기지 & LTV 완화
공공주택은행(가칭)이 40년·2 % 고정금리 대출을 제공하며, 청년·신혼부부·다자녀 가구엔 LTV 90 %를 적용합니다. DSR 계산 시 토지임대료(월 5 만~8 만 원)를 공제해 실질 한도를 확대합니다.
③ 지역별 공급 물량 · 일정
권역 | 2025~26 | 2027~28 | 합계 |
---|---|---|---|
수도권(역세권·3기 신도시) | 6만 호 | 12만 호 | 18만 호 |
5대 광역시(구도심 재개발) | 2만 호 | 5만 호 | 7만 호 |
중소·혁신도시(스마트산단) | 1만 호 | 4만 호 | 5만 호 |
④ 스마트 건설·그린 리모델링
모듈러·PC·3D프린트 등 스마트컨스트럭션을 공공 대량 발주와 결합, 공기 30 % 단축·탄소 20 % 절감을 목표로 합니다. 제로에너지 인증(BEP1+)을 획득하면 녹색채권 발행 시 금리를 최대 0.3 %p 절감합니다.
⑤ 생활 SOC & 커뮤니티
단지 내 공공보육·창업센터·스마트 물류보관함을 의무화하고, 에너지 자급을 위해 BIPV+ESS를 표준 적용해 관리비를 절감합니다.
⑥ 민간 참여 인센티브
건설사는 확정 분양가·금융보증으로 리스크를 낮추고, 국토교통부 보증 연계 ESG 가점으로 자금 조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기대 효과·리스크·실전 팁
중저가 공공주택 30만 호 공급은 ▲청년·신혼 주거 부담 완화 ▲주택 가격 안정 ▲지역 균형 발전이라는 세 축을 노립니다.
하지만 토지 확보 속도·원가 상승·민간 참여 의지가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 실수요자는
(1) 직주근접(출퇴근 60 분 이내)
(2) 학군·생활 인프라
(3) 장기 고정금리 가능 여부를 반드시 체크하세요. 투자 관점이라면 관리·전세전환이 유리한 59 ㎡ 이하 타입을 선점해 전세+월세 복합 수익을 노려볼 수 있습니다.
👉 사전청약 일정 & 자격 FAQ 바로 가기
자주 묻는 질문(FAQ)
Q1. 토지임대료는 매년 인상되나요?
아니요. 정부는 감정가의 2 % 이내, 연 CPI 1 % 상한을 두어 안정적 부담을 보장합니다.
Q2. 초장기 모기지 중도 상환수수료는?
1년 경과 후 수수료 없이 조기 상환이 가능해 차익 실현·갈아타기를 유연하게 할 수 있습니다.
Q3. 수도권 3기 신도시 중 어디에 먼저 공급되나요?
2025~26년 남양주 왕숙·하남 교산, 2027~28년 고양 창릉·부천 대장 순으로 사전청약이 진행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