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025년 하반기부터 지방 소멸위험 지역의 빈집 10만 호를 리모델링해 ‘농촌 살집’으로 공급하고, 최대 7,000만 원(보조금+저금리 대출)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귀촌 청년·창업인·다자녀 가구가 저렴한 비용으로 정착하고 지역경제를 살리는 “빈집 리모델링·농촌 살집 지원 정책” 핵심 정보를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왜 빈집 리모델링-농촌 살집이 필요할까?
행정안전부 통계에 따르면 2024년 전국 빈집은 154만 호, 이 중 70 % 가 "지방 소멸위험 지역"에 몰려 있습니다. 빈집 방치는 ▲안전사고 ▲도심 슬럼화 ▲지방세수 감소를 초래하고, 청년 인구 유출·고령화 가속으로 악순환이 이어집니다. 정부는 ▲빈집 매입 후 리모델링 ▲임대료 월 10만 원 이하 공급 ▲창업·농업 연계 지원을 통해 “빈집 문제 ↔ 인구 감소” 고리를 끊겠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특히 청년·신혼부부·소형 창업자를 대상으로 최대 7,000만 원(보조금 3,000 만 + 1 % 고정금리 대출 4,000 만)을 지원해 "도심 전·월세 수준의 비용"으로 농촌 정착을 돕습니다.
지원 구조 · 신청 절차 · 혜택 정리
① 지원 항목과 금액(2025 확정안)
항목 | 보조금 (최대) |
저금리 대출 (10년·1 %) |
---|---|---|
구매·매입 | 1,000만 원 | 4,000만 원 |
리모델링(단열·배관·전기) | 1,500만 원 | |
창업·농업 시설 보강 | 500만 원 |
② 신청 절차(빈집뱅크 온라인)
- 빈집뱅크 포털 접속 → 매물 검색·예약
- 지자체 주거재생과 방문·현장 점검 → 평가 보고서 발급
- 사업계획서·소득 증빙 제출 → 보조금·대출 동시 심사(최대 30일)
- 계약 체결·리모델링 → 준공 확인 후 단계별 지원금 지급
③ 정착 패키지 혜택
- 주거 — 임대료 월 10 만 원 이하, 10년 거주 시 매입 권리 부여
- 일자리 — 귀촌 창업 지원금 3,000만 원·농지 임대료 50 % 감면
- 교육/의료 — 초등 돌봄센터·공공의료 이동버스 운영
실수요·투자 체크포인트
실수요자(청년·신혼)는 Δ지방 소멸위험 지수 ‘주의·심각’ 등급 지역 Δ연소득 7천만 원 이하 Δ귀촌 교육 이수(4시간) 요건을 충족해 야 합니다.
투자자는 수익형 접근보다 임대+농촌 체험 운영등 지역 연계 비즈니스 모델을 결합해야 수익률(ROI 6 % 대)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빈집 리모델링 Q&A 바로 가기
자주 묻는 질문(FAQ)
Q1. 만 40세도 청년 지원 대상인가요?
‘청년’ 기준은 만 39세 이하지만, 소멸위험 지역은 만 45세까지 확대 적용됩니다.
Q2. 빈집 매입 후 재임대가 가능한가요?
거주 의무 5년(실입주 연 9개월) 충족 후, 잔여 기간은 임대 전환할 수 있습니다.
Q3. 보조금 소진 시 어떻게 되나요?
예산이 소진되면 ‘다음 분기 이월’ 방식으로 순연되므로 신청 접수 순서가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