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초 발표될 예정인 ‘1차 주택 공급대책’은 수도권 도심 공급 확대, 3기 신도시 본청약 가속화, 기업형 장기민간임대주택 강화 등 주택시장의 구조적 안정을 목표로 한다. 이번 글에서는 정부가 준비 중인 공급대책의 주요 내용을 정리하고, 향후 시장에 미칠 영향을 살펴본다.

1차 공급대책 발표 배경
2025년 상반기 동안 주택 시장은 금융 규제와 전세 불안정으로 혼란스러운 양상을 보였다. 특히 수도권의 주택 수요는 꾸준히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공급은 계획 단계에 머무르거나 지연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주거 안정을 위해 9월 초 ‘1차 공급대책’을 예고하였다. 이번 대책은 단순한 물량 확대가 아니라 도심 내 신규 택지 확보, 3기 신도시 본청약 일정 확정, 장기 민간임대 확대 등 종합적이고 실질적인 정책 패키지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1차 공급대책의 핵심 내용
첫째, 수도권 도심 공급 확대이다. 노후 공공청사와 국유지 등 가용 부지를 활용하여 신규 주택을 공급하는 방안이 포함될 전망이다. 이는 직주근접을 원하는 청년·신혼부부 수요를 흡수하고, 도심 외곽으로의 쏠림 현상을 완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3기 신도시 본청약의 가속화다. 그동안 장기간 대기했던 무주택자들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본청약 물량을 조기 확대하고, 지역별 청약 로드맵을 공개할 예정이다.
셋째, 기업형 장기민간임대주택의 강화다. 리츠 기반의 20년 이상 장기 임대 모델에 세제 혜택과 도시계획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청년·신혼부부·고령자 등 다양한 계층이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임대주택을 확대한다.
넷째, 주거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제도 개선도 병행된다. 청년 특별공급 비율 확대, 전세사기 피해자 지원, 고령자 맞춤형 주거복지 정책 등이 추가될 가능성이 높다.
향후 파급효과와 과제
1차 공급대책은 단순히 주택 물량을 늘리는 것을 넘어, 시장 구조를 안정시키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
도심 공급 확대와 3기 신도시 본청약 가속화는 주거 수요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기업형 장기민간임대주택은 임대시장 불안을 완화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그러나 실제 공급이 착공·입주까지 이어지기까지는 수년이 소요되므로, 단기적 효과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이번 대책 발표 이후 구체적인 사업지 지정, 인허가 절차의 신속화, 재원 조달 방안 마련 등을 병행해야 한다.
결국 2025년 9월 1차 공급대책은 주택시장 안정과 주거 복지 강화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풀어내야 하는 중요한 시험대가 될 것이다.